2021년 코로나19로 인해 별도 공지 시까지 관람 중단
남바원 정동길 따라 역사 여행 - 중명전(重明殿)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고 1907년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곳,
역사의 현장 중명전으로 향합니다.
정동길을 걷다 보면 국립 정동극장 옆으로 길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덕수궁 중명전 향하는 길입니다.
2021년 코로나19로 인해 별도 공지 시까지 관람 중단
(가시기 전 꼭 문화재청 덕수궁 홈페이지에서 관람 여부 확인하시고 가세요.)
관람은 무료입니다.
http://www.deoksugung.go.kr/c/visitor/1#info03
중명전은 ‘광명이 계속 이어져 그치지 않는 전각’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에 궁중에 지어진 최초의 서양식 건물 중 하나
경복궁의 집옥재와 같은 황실도서관으로 계획되어 1899년경에 완성된 건물입니다.
당시의 명칭은 ‘수옥헌(漱玉軒)’
대지 2,399㎡(727평), 건축면적 877.8㎡(236평)의 양식(洋式) 2층 벽돌집
남바원이 촬영한 현재 중명전과 다르죠?
1901년 화재 이후 정면과 양측면의 3면에 회랑이 있는 2층 건물로 재건되었습니다.
1925년 다시 화재가 발생하여 외벽만 남기고 소실되자 건물의 형태를 변형하여 재건했으며,
광복 이후에는 민간인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고 합니다.
민간인 소유의 중명전을 2006년에 인수,
2009년 건물의 형태를 되찾는 공사를 실시하여 대한제국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하였습니다.
증명전을 설계한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대부분 사바틴으로 알고 있는 러시아 출신의 건축 기사입니다.
러시아공사관, 독립문(서대문형무소 편)도 그의 작품입니다.
아관파천 구 러시아공사관에 가다.(정동 시간 여행, 서울가볼만한곳)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서울 舊 러시아公使館) - 사적 제253호에 다녀왔습니다.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乙未事變 .1895년 음력 8월 20일) 이후 일본군의 무자비한 공격에 신변에 위협을 느낀
nambaone.tistory.com
민족의 민족의 수난과 굴곡을 간직한 곳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그리고 자주독립의 의지 독립문
2011/10 제작 자주독립의 의지 독립문(獨立門) 그리고 민족의 민족의 수난과 굴곡을 간직한 곳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날씨가 흐린 어느날 지인분께서 란돌이 말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아무곳이나
nambaone.tistory.com
덕수궁 편(준비 중) 정관헌도 그리고 인천 차이나타운 여행기(준비 중) 제물포구락부 빌딩 본관
역시도 그의 작품입니다.
을미사변 때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직접 목견한 2명의 외국인 중 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중명전 실내 들어서면 강화 플라스틱 덮여 있는 모습 바닥 타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형 그대로 모습으로 잘 보존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서양 조명을 받은 타일이 더욱 아름답게 보였습니다.
중명전 실내 전시실은 4가지 테마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1 전시실 - 덕수궁과 중명전
2 전시실 - 을사늑약의 현장
3 전시실 - 을사늑약 전후의 대한제국
4 전시실 - 대한제국의 특사들
1 전시실 - 덕수궁과 중명전
대한제국 덕수궁 중명전의 역사와 을사늑약 강제 체결, 을사늑약문 보실 수 있습니다.
2 전시실 - 을사늑약의 현장
이토 히로부미를 중심으로 대한제국 대신과 일제 관계자들 9명이 앉아 있는 장면이 재현돼 있습니다.
을사늑약에 찬성한 을사오적 - 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
을사 늑약 전문
대한제국 황제어새
4 전시실 - 대한제국의 특사들
헤이그 특사 - 이준, 이상설, 이위종
1907년 고종은 제2회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을사늑약이 대한제국 황제의 뜻에 반하여 강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폭로하고 을사늑약을 파기하고자 헤이그 특사 파견
아직도 을사조약으로 말씀하시는 분은 없겠죠.
조약(條約)이란 나라와 나라 사이에 맺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약속이다.
조약은 국가가 의회 등을 통해 비준하면 그 국가의 법이 된다.
을사조약이 아니라 1905년 일본에 의해 강제로 체결된 을사늑약을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파견한 특사 이준, 이상설, 이위종
https://www.yna.co.kr/view/AKR20190311159500082
"고종 '내가 살해돼도 특명다하라'"…112년전 헤이그특사 인터뷰 | 연합뉴스
(베를린=연합뉴스) 이광빈 특파원 = "내가 살해당해도 나를 위해서 아무런 신경을 쓰지 마라. 너희들은 특명을 다하라. 대한제국의 독립주권을 찾...
www.yna.co.kr
일본은 헤이그 특사 파견을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순종을 즉위시켰다.
남바원 정동 시간 역사 여행
덕수궁 돌담길 따라 고종의 길을 걷다. (서울 가볼만한곳, 정동 시간 여행, 정동길)
1959년 영국대사관의 임대로 일반인 통행이 제한된 지 58년 만입니다. 이 길은 고종의 선왕의 어진이 모셔진 선원전과 경희궁 등으로 들나들던 길목으로 전해집니다. 덕수궁길 100m 개방은 이 길은
nambaone.tistory.com
정동길에서 이화박물관 - 이화여고 심슨 기념관 (정동 근현대 문화유산 )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 배재학당 동관 역사박물관 정동길을 걷다 보면 대한민국 근현대 문화유산 이화박물관 - 심슨기념관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럼 가볼까요. 이화 박물관은 이화
nambaone.tistory.com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 배재학당 동관 역사박물관(정동 근현대 문화유산 )
(정동 근현대 문화유산 ) 정동길에서 이화 여자고등학교 박물관 - 이화여고 심슨 기념관 서울 중구 정동 빽빽한 도시 빌딩들 사이로 작고 아담한 건물 있습니다.. 세월이 묻고 묻은 붉은 벽돌
nambaone.tistory.com
아관파천 구 러시아공사관에 가다.(정동 시간 여행, 서울가볼만한곳)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서울 舊 러시아公使館) - 사적 제253호에 다녀왔습니다.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乙未事變 .1895년 음력 8월 20일) 이후 일본군의 무자비한 공격에 신변에 위협을 느낀
nambaone.tistory.com
구세군 중앙회관 & 구세군 역사 박물관 (서울 중구 정동 가볼만한곳)
덕수궁 길을 걷다 남바원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 근대건축물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0호 구세군중앙회관 (救世軍중앙회관) 입니다. 한국 기독교의 뿌리와 문화 그리고 신앙의 전통과 역사를 증언
nambaone.tistory.com
'여행기 > 시즌2 (2008~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왕실의 원찰 중 하나 봉영사 , 경기도 가볼만한 사찰 (0) | 2021.09.02 |
---|---|
두물머리가 한눈에 보이는 양평 수종사 , 경기도 가볼만한 사찰 (0) | 2021.08.26 |
흥선대원군의 사저 운현궁, 서울 종로 가볼만한 곳 궁궐 (0) | 2021.07.24 |
서울 & 경기도 가볼 만한 사찰 (0) | 2021.06.19 |
경기도 가볼만한곳 - 경기도 여주 (명성황후 생가, 고달사지, 신륵사, 목아박물관) 서울 근교 여행지 추천 (0) | 2021.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