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 제작
이번에 다녀온곳은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된 홍릉.유릉입니다.
▒ ▒
▒ ▒
▒ ▒
▒ ▒
홍릉(洪陵) & 유릉(裕陵)
조선 제26대 고종(高宗)과 황후인 명성왕후 민씨를 합장한 홍릉(洪陵)
조선 제27대 순종(純宗)과 황후 순명효황후 민씨 , 계후 순정효황후 윤씨를 합장한 유릉(裕陵)
▒ ▒
▒ ▒
그럼~ 떠나볼까요..
잠깐!! 금강산도 식후경..ㅎㅎ
홍유릉 가는길에 지인분이 만두가 땡긴다고 하셔서 이곳으로 모셨습니다...^^ 어랑 만두집입니다.
어랑뚝배기 입니다. . 수제 만두입니다. 좀 단순해 보여도 맛이 좋아요.
이쪽에 오시면 드셔보세요. 음식점을 아주 잘 꾸며 놔서 사진도 많이 찍습니다.
▒ ▒
▒ ▒
▒ ▒
▒ ▒
홍릉, 유릉 입구 외삼문(外三門)
들어가실때는 우측 나올때는 좌측~ 가운데 문은 신문 , 신들이 다니는 길입니다.
외삼문 가운데 문 열렸다고 지나가면 안됩니다.^^
▒ ▒
▒ ▒
▒ ▒
▒ ▒
홍유릉 경내 두 갈래 길이 있습니다. 홍릉 방향 유릉 방향..
먼저 홍릉쪽으로 발걸음을 향했습니다.
(홍릉을 먼저 가야 한다고 합니다. 해설사분께서)
▒ ▒
▒ ▒
▒ ▒
▒ ▒
▒ ▒
▒ ▒
▒ ▒
▒ ▒
이곳이 바로 홍릉(사적 제207호) 입니다.
위에서 설명해드린 조선 제26대 왕 고종(高宗 1852~1919, 재위 1863∼1907)과 비 명성황후(明成皇后) 민씨(1851~1895)를 합장한 무덤입니다.
멀리 침전 과 문인석,무인석,기린,코끼리,사자,해태,낙타,말 석상들이 양옆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 ▒
▒ ▒
▒ ▒
▒ ▒
홍릉으로 향하는 삼도
중앙에 올라온 길은 신들만 다니는 길이고 양 옆의 길은 일반인들이 다니는 길입니다.
중앙길로 가시면 안됩니다.
▒ ▒
▒ ▒
▒ ▒
▒ ▒
침전은 정丁자 모양을 한 정자각 대신 정면 5칸 측면 4칸의 일자형 건물로 역대 왕릉과 다른 황제릉(중국의 영향) 형식입니다.
▒ ▒
▒ ▒
▒ ▒
▒ ▒
홍릉의 비각
대한
고종태황제홍릉
명성태황후부좌
비각 안의 비문에는 고종과 명성황후가 합장되었으며 좌측에 명성황후가 안장되었다
비각의 명칭을 바로 세운분이 있습니다.
홍릉에 비석봉건 참봉 고영근 대죄(동아일보 1922년 12월 13일) 3면에 보시면 기사가 있습니다.
홍릉의 릉참봉인 고영근(우범석을 죽인 열사입니다.)
고영근, 우범석에 관한 이야기는 추후 명성왕후 여행기편을 할때 함께 하겠습니다.
대한 홍릉 명성 황후
8글자만 있었습니다. 그 사이는 공백
일본의 규제 때문에 그랬습니다.
고영근은 극비리에 인부를 시켜서 고종 태황제 세기고 명성왕후 태를 넣고 합장을 의미하는 부좌를 추가 하여 완성시킴.
▒ ▒
▒ ▒
▒ ▒
▒ ▒
▒ ▒
▒ ▒
▒ ▒
▒ ▒
홍릉 침전의 내부모습
▒ ▒
▒ ▒
▒ ▒
▒ ▒
침전을 오르는 계단이 두개가 있습니다. 화면에 보이는 계단은 왕이 오르는 계단입니다.
▒ ▒
▒ ▒
▒ ▒
▒ ▒
▒ ▒
▒ ▒
▒ ▒
▒ ▒
침전의 단청과 침전옆에 한그루의 나무가 인상이네요. 담아봤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침전 뒤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안보이시죠. ㅠㅠ
출입제한 되어 있지만 안내자가 있으면 같이 올라갈수 있다고 합니다.
▒ ▒
▒ ▒
▒ ▒
▒ ▒
재실(齋室)에서 바라본 홍릉
장명등,망주석,병풍석,등이 보입니다.
1895년 8월 20일 경복궁 곤녕전에서 시해된 명성황후는 1897년 11월 21일 서울 청량리에 묻혔습니다.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덕수궁 함녕전에서 숨져 3월 4일 현 위치에 예장되었고,
그때 명성황후의 능이 풍수지리상 불길하다는 이유로 이장되어 고종의 능에 합장되었습니다.
고종황제의 죽음의 진실
1919년 1월 21일 아침 6시경 경운궁에서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공식적으로 뇌일혈이라고 하지만.. 이걸 믿는 대한민국 국민은 없을듯 합니다.
.
.
이에 관한 이야기 많이 길어 질것 같아서 ~~^^;;
추후에 고종 황제에 관한 여행기에서 준비할 예정입니다.
덕수궁부터 환구대 , 아관파천(구)러시아 공사관등 그리고 덕혜옹주 이야기~알려드릴께요
기다려 주세요.
▒ ▒
▒ ▒
▒ ▒
▒ ▒
홍릉의 재실(齋室) 향하는 길
▒ ▒
▒ ▒
▒ ▒
▒ ▒
▒ ▒
▒ ▒
▒ ▒
▒ ▒
홍릉의 재실(齋室) 내부 전경
제사 지내기 전 준비하는 곳으로 왕릉을 관라하던 능참봉이 상주하였다고 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릉[裕陵] 입니다.
조선 27대왕 순종과 비 순명효왕후 민씨 ,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를 합장한 무덤입니다.
순종은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둘째 아들로,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일제의 압박에 의해 밀려난 고종의 뒤를 이어 1907년(광무 11년) 조선의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즉위한다.
순종의 재위기간은 조선왕조 519년의 역사를 마무리하는 비사(悲史)와 민족의 주권을 수호하려는 통사(痛史)의 시기였다.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庚戌國恥) 이후, 이왕(李王)으로 강등된 순종은 망국의 한을 달래다 1926년 4월 25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 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홍살문에서 침전까지 양옆에 나란히 선 석물들, 말,낙타,해태,사자,코끼리,기린,무인석,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홍유릉 내에 방지원도(연못)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남바원이 2004년 8월 홍유릉에 똑딱이로 들고 찍은 사진입니다.
홍유릉 들렸다 청평으로 향했습니다.
청평댐입니다. 정말 자주 갔던 곳인데..^^
드라이브 하기도 좋고 맛난집도 많이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Travel/(2008~ ing)] -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전설이 깃든 사찰 회룡사(回龍寺) & 석굴암 & 노강서원
[Travel/(2008~ ing)] - 광해왕이라 불리지 못한 왕 혼군? 광해군 묘 [光海君 墓] 에 가다.
[Travel/(2008~ ing)] - 아름다운 자연을 체험을 할수 있는 테마농원 율봄식물원
[Travel/(2008~ ing)] - 다양한 석조미술을 감상할수 있는 세중 옛돌 박물관
[Travel/(2008~ ing)] - 돌아이들과 함께~~보광사
[Travel/(2008~ ing)] - 옛생활의 정취와 향수를 느끼는 옹기민속박물관
[Travel/(2008~ ing)] - 가는 날이 장날?? 휴가기간에 다녀온 몽골 문화촌
[Travel/(2008~ ing)] - 아프리카 문화와 예술품을 보고 만질수 있는 곳 아프리카 문화원
[Travel/(2008~ ing)] - 태조 왕건이 기도하던 사찰 자인사
[Travel/(2008~ ing)] - 아름다운 꽃과 이야기가 있는 석조형물이 있는 정원 석화촌(石花村)
'여행기 > 시즌2 (2008~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도심 속 붓꽃의 노래를 들을수 있는 곳 서울 창포원 (0) | 2012.03.15 |
---|---|
대한민국의 역사가 살아숨시는곳 국립중앙박물관 야외편 (0) | 2012.03.09 |
조선 최고의 폭군? 조선 10대왕 연산군이 잠든 곳 연산군 묘(燕山君墓)에 가다. (1) | 2012.02.19 |
석굴암 부처님보다 3배나 더 큰 불상있는 용인 문수산 법륜사 (0) | 2012.02.19 |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전설이 깃든 사찰 회룡사(回龍寺) & 석굴암 & 노강서원 #경기도 사찰가볼만한곳 (0) | 201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