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왕사신기,선덕여왕의 촬영지 고구려 대장간마을에 가다.편 바로가기
고구려대장간마을 - 고구려 유적전시관편 입니다.
(고구려 대장간 마을편 보실분은 상단에 링크를 타고 가시면 됩니다.)
고구려대장간마을 입장하기 전이나 퇴장하실때 꼭 둘러 보시고 가세요.
삼국시대 고구려의 남진정책의 전초기지 기능을 했던 군사요새인 보루 유적(보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클릭)과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하여, 아차산 보루의 역사적 의미를 시민들에게 홍보하고자 설립되었다.
남바원은 고구려대장간마을 입장하기전에 둘러보고 갑니다.
전시관 입구 들어서 머리위에서 번쩍번쩍한게 느껴져서 올려다보니 ..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 보이네요.
(참 ~ 얼마전 천문학교수(박석재) 강의 듣다 알게되었는데 천상열차분야지도 태조본(국보228호)는 탁본이고
진짜 원본은 고구려시대에 최초로 제작되어 전시중 분실을 했다고 합니다.
분실 위치가 대동강으로 추정된다고 하네요.
대동강 깊은 강물 어딘가에..
안악3호분 행렬도 재현모형
안악3호분의 행렬도를 바탕으로 하여 왕의 행렬을 재현한 것이다.
고구려 전기 고분벽화의 특징을 보이는 안악 3호분무덤에는 높이 2m, 길이 10.5m에 걸쳐 250명 이상의 인물을 그린 대규모의 행렬도가 있다.
행령도에는 소수레를 타고 가는 주인공과 그를 호위하여 행진하는 문무관.의장병.기마병, 악대의 모습이 생생히 묘사 되었다.
밑에 그림은 동북아 역사 재단에서 안악3호분에 대한 디지털 복원 작업은 완료한 그림입니다.
행렬도 재현모형과 많이 비슷한가요
닥종이 만든 행렬 모형이라 귀엽지만 아주 정성이 담긴 작품 같습니다.
안악3호분 행렬도(원본)
출처 -동북아 역사 재단 http://contents.nahf.or.kr/goguryeo/anak3/an_html_kr/int2.html
자~ 그럼 2층 전시관으로 이동하겠습니다.
2층 전시관은 출토된 유물들은 전시하고 있습니다.
전시관은 큰 규모는 아니지만 자세한 설명과 소중한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철솥(鐵釡)
고구려는 철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그릇을 제작하였는데 철항아리, 철솥, 부뚜막 등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나팔입항아리()
고구려 토기의 가장 특징적인 기종으로 나팔처럼 벌어지는 긴 목과 네 개의 띠고리손잡이가 특징적이다.
주로 고분에서 출토되며, 부장용이나, 의례용기로 제작. 사용된 기종이다.
토기류 - 아차산 보루 출토
아차산 일원의 고구려 보루에서는 많은 수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토기류이다.
출토된 토기류는 대략 24개의 기종으로 분류되며,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토기까지 합하면 최소 개체 수 만도 1.611개체에 달한다.
2층 전시관 천장 대들보에 상량 문구
투구
고구려의 투구는 관모형복발주의 일종으로 , 가운데 복발에 여러 장의 찰편을 가죽끈 등으로 연결하여 만든 것이다.
아차산4보루 1호 건물지의 온돌아궁이 내부에서 복발 1개와 52매의 소찰이 흩어져 발견되 이 투구는 직경 0.2cm의 작은 구멍에
가죽끈으로 소찰과 소찰사이를 연결하였으며 이는 일정한 곡선으로 굽어져 있어 사람의 얼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구류 - 아차산 보루 출토
고구려의 말갖춤에는 말을 통제하기 위한 재갈과 고삐, 말 위에서 몸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안장과 발걸이, 말을 장식하기 위한
말방울, 말띠드리개, 꾸미개가 있다. 고구려의 말갖춤은 산성, 보루 등에서 출토된 유물과 무덤벽화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으며 고대 동아시아의 말갖춤 형태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남바원여행기 시즌2 - 태왕사신기,선덕여왕의 촬영지 고구려 대장간마을에 가다.편 바로가기
nambaone.com 남바원 남바원닷컴 nambaone nambaONE 남바원여행기 nambaonelee
'여행기 > 시즌2 (2008~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절(忠節) 사육신이 잠든곳 사육신묘 가다. (6) | 2013.04.19 |
---|---|
태왕사신기,선덕여왕의 촬영지 고구려 대장간마을 (5) | 2013.02.03 |
단종의 애절한 그리움이 잠든 정순왕후 송씨 사릉 (2) | 2012.11.04 |
대한민국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 실내편 2부 (0) | 2012.05.20 |
대한민국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 실내편 1부 (0) | 201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