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04/02월 제작
1963년 지정. 1491년(성종 22)에 축조된 것으로, 둘레 1,800 m, 성 높이 5 m, 성 안의 넓이 6만 4350 m2
과거에는 이것보다 더 컸는데.. 폐성된 지 오래되어 성곽이 일부 허물어지고, 성 안의 건물이 철거 되어 그 자리에 해미초등학교와
우체국.민가등이 들어서는 등 .. 옛 모습을 찾을 수 없었으나.. 1973년부터 읍성의 복원사업을 해서 지금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고 하네요..
해미읍성은 조선 태종 18년에 병마절도사형성으로 축조했다고 합니다.
세종때는 충청도 육군의 본영으로 사용되다
고종때는 천주교를 탄압 하면서 교도 천 여명을 처형했던 역사적인 곳이네요..
▒ ▒
▒ ▒
해미읍성의 입구 사적 제116호
▒ ▒
▒ ▒
▒ ▒
▒ ▒
하늘이 너무나 좋았습니다. 아주 느낌도 100%였습니다.
▒ ▒
▒ ▒
해미읍성 내부 모습
▒ ▒
▒ ▒
읍성안에서 본 성곽의 모습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려 말부터 국정이 혼란한 틈을 타서 왜구가 해안지방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바, 이를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17년(1417)부터 세종3년(1421) 사이에 당시 덕산(德山)에 있던 충청병마도절제사영(忠淸兵馬都節制使營)을 이 곳에 옮기고자 축성(築城)되었으며, 효종3년(1652)에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이 청주로 옮겨가기 전까지 230여 년간 군사권을 행사하던 성으로 있다가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설되고 해미현의 관아가 이 성으로 옮겨졌으며,1914년까지 겸영장(兼營將)이 배치되는 호서좌영으로서 내포지방의 군사권을 행사하던 곳이었다. 해발 130m인 북동쪽의 낮은 구릉에 넓은 평지를 포용하여 축조된 성으로서, 성벽의 아랫부분은 큰 석재를 사용하고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작은 석재를 사용하여 쌓았다. 성벽의 높이는 4.9m로서 안쪽은 흙으로 내탁되었으며 성벽 상부 폭은 2.1m 정도이다. 성문은 동·서·남·북 4곳에 있는데 네모지게 잘 다듬은 무사석(武砂石)으로 쌓았으며, 주 출입구인 남문은 아치모양의 홍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읍성에는 동헌을 비롯하여 아사(衙舍) 및 작청(作廳) 등의 건물들이 빼곡히 있었으며, 천주교 박해와 관련된 유적도 일부 남아 있다. 1974년에 동문·서문이 복원되었고, 1981년 성내 일부를 발굴한 결과 현재의 동헌 서쪽에서 객사와, 현재의 아문 서쪽 30m 지점에서 옛 아문지가 확인되었고, 관아외곽석장기지(官衙外廓石牆基址)가 발견되었다. 성의 둘레에는 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탱자나무를 돌려 심어서 탱자성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본문으로]
'여행기 > 시즌1 (2002~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사(東鶴寺) (0) | 2012.03.05 |
---|---|
개심사(開心寺) (0) | 2012.03.02 |
수덕사(修德寺) (0) | 2012.03.01 |
부석사(浮石寺) (0) | 2012.03.01 |
영주 소수서원(榮州 紹修書院)&금성단(錦城壇)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