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한글박물관 다녀왔습니다.
한글의 창제부터 한글의 발전 과정과 문화, 쓰임새 그럼 둘러볼까요~
한글박물관은 바로 국립중앙박물관 바로 옆에 위치해 있습니다.
두 곳의 박물관을 하루 안에 다 둘러보려면 많이 빠듯합니다.
상설전시실은 한글이 걸어온 길 3개의 부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한글의 탄생하는 순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연구되는 과정을 살려볼 수 있습니다.
"공쥬, 글씨 뎍으시니: 덕온공주 집안 3대 한글 유산"
개관 5주년 기념 기획특별전 공쥬, 글씨 뎍으시니: 덕온공주 집안 3대 한글 유산
국립한글박물관은 개관 5주년을 맞이하는 2019년 첫 번째 기획특별전으로 조선의 마지막 공주 덕온과 아들, 손녀 3대가 쓴 한글 자료와 생활 자료 200여 점을 한곳에서 보여주는 전시를 마련하였다.
전시를 위해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부터 덕온공주 집안 한글 자료를 꾸준히 수집해 왔으며 2019년 1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구입하여 이관해 준 덕온공주 친필 『경뎐긔』 등 68점이 더해지면서 400여 점의 덕온공주 집안 자료를 소장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왕실의 품격이 녹아 있는 아름다운 한글 궁체와 함께 덕온공주德溫公主(1822-1844)와 아들 윤용구尹用求(1853-1939), 손녀 윤백영尹伯榮(1888-1986) 3대가 시공간을 뛰어넘어 한글을 통해 서로 마음을 주고받은 따뜻한 가족 사랑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자리이다.
전시장은 크게 3부로 구성된다. 1부 ‘덕온공주, 왕실의 품격을 한글로 빛내다’에서는 덕온공주가 부모님을 생각하며 친필로 쓴 우아한 한글 궁체를 만날 수 있다. 2부 ‘윤용구, 한글로 여성과 소통하다’에서는 덕온공주의 양아들 윤용구가 여성들을 위해 한글로 편찬한 중국 역사서와 딸 윤백영에게 써준 여성 교훈서 등을 선보인다. 3부 ‘윤백영, 왕실 한글을 지키고 가꾸다’에서는 덕온공주의 손녀 윤백영이 아버지를 생각하며 쓴 한글 서예 작품들과 윤백영이 고증한 왕실 한글 자료에 대한 기록들을 소개한다. 덕온공주와 그 후손들이 왕실과 주고받은 편지를 통해 옛 한글 편지의 특성을 볼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덕온공주의 친필이 다수 소개된다. 아버지 순조의 『자경전기慈慶殿記』를 한글로 옮겨 쓴 덕온공주의 『경뎐긔』 , 여성을 위한 가르침 「규훈閨訓」과 『고문진보언해古文眞寶諺解』의 중국 명문장들을 베껴 쓴 공주의 글씨들을 만날 수 있다. 덕온공주의 아들 윤용구가 고종의 명으로 편찬한 중국 역사서 『정사기람正史紀覽』, 중국 여성 열전인 『동사기람彤史紀覽』, 딸 윤백영에게 주기 위해 모범이 되는 중국 여성 이야기를 추린 『여사초략女史抄略』 등도 전시된다. 왕실의 한글 궁체가 현대로 이어지는 데 기여한 윤백영의 한글서예 작품도 소개된다. 중국의 어진 황후 「한나라 명덕황후 마씨 전기」, 효도에 관한 노래 「훈민가訓民歌」 등 윤백영이 10대 때부터 80대까지 쓴 다양한 서예 작품도 볼 수 있다.
전시실 입장 후 품격이 느껴지는 덕온공주 집안 글자들을 보면서 감탄할때
덕온공주 어떤 분일까 궁금할 때쯤 커다란 화면 영상이 흘러나옵니다.
영상 꼭 보세요.
‘부모를 섬기는 마음 『경뎐긔』’ 전시 공간
어린아이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있습니다. 바로 한글 놀이터
어린이가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를 배우고 한글을 통해 다양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체험 공간입니다. 신나게 놀면서 한글의 힘과 의미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6~9세의 어린이가 체험하기에 적합합니다.
우리나라의 역사 중에 가장 위대한 할 수 있는 바로 한글.
한글의 역사와 한글의 현재를 만날 수 있는 곳 다른 여러 박물관보다 먼저 와봐야 하는 곳입니다.
'여행기 > 시즌2 (2008~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만화의 성지 부천 한국 만화박물관 - #경기도 부천에 가볼만한 곳, #아이들과 가볼만한곳 (0) | 2019.10.19 |
---|---|
서울 노원 가볼만한 미술관 북서울미술관 가다. #서울 박물관 가볼만한곳, #노원 가볼만한곳 (0) | 2019.08.10 |
근대 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특별 전시회 가다. (0) | 2019.05.31 |
보물 제1260호 공주 마곡사 괘불 (0) | 2019.04.30 |
조선 최장의 다리 살곶이다리 #보물 제1738호 (0) | 2019.03.25 |